까르마 - 우주의 작동방식
감정과 느낌만 철저하게 다스리도록 하자.
감정과 느낌이 곧 인생 그 자체이다.
당신이 길을 걷다가 우연히 누군가와 살짝 부딪히게 되었다. 그런데 두 사람 모두 너무 바쁘고 정신이 없어서, 서로 부딪혔다는 사실을 인식도 못하고 그냥 지나쳐 가버렸다. 이러한 경우에는 까르마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날 당신은 같은 길을 걷다가 또 다른 사람과 부딪혀 버렸다. 그때 여러분은 어제와는 다르게 순간적으로 불쾌한 감정을 확 느껴 버렸다. 그래서 인상을 잔뜩 찌푸리면서 상대를 보았더니 상대도 짜증나는 티를 팍팍 내고 있다.
까르마는 바로 이때 발생한다. 첫 번째 경우처럼 아무런 감정도 느낌도 생겨나지 않으면 까르마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감정이 발생하는 순간 까르마가 생겨 버린다.
감정이 발생하는 순간 업보, 즉 까르마가 생겨난다
불교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어떤 것 앞에서 그 어떤 감정도 느낌도 느끼지 못하는 무감정과 해탈의 상태에 들어가게 되면 그제야 업보, 즉 까르마가 해소된다.
이것을 바꿔서 말해 보자.
감정과 느낌이 카르마의 고리를 이어주는 끈이다. 즉 카르마의 원인은 감정과 느낌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이렇게 말했다. 너의 원수에게 똑같이 화를 내거나 복수해야겠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원수에게 고마워하고 그를 용서하고 흘려보내라. 예수님은 원수를 도대체 몇 번까지 용서해주어야 하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일곱 번이 아니라 70번이라도 용서하도록 해라.
종교의 구분선이라는 껍데기를 잠시 지우고 알맹이만 보자. 부처님과 예수님은, 상대방이 아무리 지독한 원수일지라도 끝내 용서하라고 말했다. 용서하고 흘려보내라는 말은, 조금은 감정의 끈을 해소하라는 말과 같다.
왜 감정을 해소해야 할까?
그것은 바로 감정과 느낌이 모든 카르마가 반복되는 원인이기 때문이다.
카르마의 원리는 무엇일까? 주면 준만큼 그대로 받게 된다. 받으면 받은 만큼 그대로 주게 된다.
이러한 카르마의 고리를 이어주는 감정은 그 자체로 에너지이자 파동이다.
감정도 에너지이다. 그래서 감정 역시 에너지 작용과 반작용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작용과 반작용 법칙의 본질적인 원리는 카르마의 원리와 꼭 같다.
◇ 작용과 반작용 법칙의 예시.
내가 주먹으로 벽을 세게 쳤다. 그럼 손이 무척 아프다. 내가 벽을 세게 치면 칠수록 손은 더더욱 아파진다.
왜 그런 것일까. 내가 벽을 때리면서 벽에 가한 에너지만큼, 내 손이 벽에게 준 에너지를 그대로 돌려받기 때문에 매우 아픈 것이다. 즉 에너지를 준만큼 그대로 돌려받는다.
세상 모든 에너지는, 예외 없이 작용과 반작용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에너지인 감정을 원인으로 하는 카르마 현상은, 곧 감정과 느낌의 작용 반작용 현상이다.
심리학계와 영성계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인간은 잠재의식에 받아들여진 감정과 꼭 닮은 현실을 마주하게 된다.
우리가 어떤 감정을 혼자서 느끼기만 해도 모든 의식이 연결되어 존재하는 장인 우주에 그 즉시 그 감정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니까 내가 혼자서 행복한 감정을 느끼기만 해도, 나는 행복이라는 감정을 창조해서 우주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나의 감정적 작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행복이라는 감정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맞게 된다.
감정을 창조해 우주에 제공하면, 같은 감정을 느낄 상황을 맞게 된다
심지어 감정과 느낌의 작용 반작용은 성공학에서 입이 닳도록 얘기하는 가치 창출 현상에도 적용됩니다.
수많은 성공인들은 하나같이 이렇게 말합니다. 돈을 쫓지 말고 가치 창출을 쫓아라. 그러면 돈은 사은품처럼 딸려올 수밖에 없다. 내가 수많은 사람들을 상대로 엄청난 가치를 창출하면 우주에 엄청난 가치를 제공한 것이다. 그러면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엄청난 가치를 받게 될 수밖에 없다. 그 가치가 대부분 돈이라는 형태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성공인들은 말한다. 당신이 벌어들이는 수입은 곧 당신이 세상에 제공한 가치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왜 나름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도 아니고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것일까? 준만큼 그대로 돌려받는다는 작용 반작용 법칙 때문이다.
생각과 감정, 2가지만 바꾸면 운명이 바뀐다
생각과 감정, 2가지만 바꾸면 운명이 바뀐다 우리 자신과 우리의 현실을 바꾸려면, 우리 신체의 파동을 바꾸기만 하면 된다. 파동을 바꾸면 새로운 것이 끌어당겨지며 이것은 과학이다. 인간의
2.healthyhappy-200.com
각종 종교의 교리, 영성계, 철학, 심지어는 성공을 위한 자기 계발 분야에서까지, 하나같이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말이 있다.
그것은 바로 "현재에 감사하라"라는 말이다. 수많은 감정들 중에 왜 하필 감사라는 감정을 느껴야 될까?
카르마는 느낌의 작용 반작용이라는 간단한 원리를 기억해 보자.
나의 현재 상황이 어떻든 간에 일단 감사라는 감정을 느끼기 시작하면, 모든 의식이 연결되어 존재하는 장인 우주에 그 즉시 감사함이라는 감정이 존재하게 된다. 즉 나는 고마움이라는 감정을 창조해서 우주에 제공한 것이다. 그러면 나는 나의 작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고마움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받게 되는 것이다.
우습기도 하고 어이가 없기도 할 수가 있다. 감사할 상황이 생겨서 그제서야 감사함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일단 감사를 먼저 느껴야 비로소 감사할 상황이 생겨나는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인 상식으로는 도저히 받아들이기 힘든 원리일 수도 있다.
그런데 정말 어이가 없게도, 이것이 진짜로 우주가 작동하는 방식이다.
우주의 작동 원리가 원래 이런 것을 어떻게 하겠는가? 인간의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겠지만, 그냥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다. 이 모든 깨달음은 결국 간단한 철학적 결론과 맞닿아 있다.
우주는 선악 원리가 아니라, 감정과 느낌의 작용 반작용이 오가는 중립지대
카르마는 감정과 느낌의 작용 반작용 현상이다. 이 작용 반작용 현상에 예외란 없다.
감정을 느끼는 것은 감정을 창조해서 우주에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면 내가 우주가 제공하는 감정을 그대로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받게 된다. 감정과 느낌의 작용 반작용 때문에 인간의 잠재의식은 우리가 느낀 감정과 꼭 닮은 현실을 마주하게 만든다.
엄청난 가치를 창출해서 우주에 제공하면 엄청난 가치를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그냥 즐겁고 행복하게 사는 것이 답이다. 이것이 끌어당김의 궁극적인 원리이다.
내가 지금 처한 현실이 어떻든 간에 이미 성공한 것처럼 성공했을 때의 만족감을 일단 느껴 버리면, 나는 우주에 엄청난 만족감이라는 감정을 창조해서 제공한 것이다. 그러면 그에 따라서 성공했을 때의 만족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받게 된다. 받을 수밖에 없게 된다.
왜냐면 우주는 철저한 작용 반작용의 무대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생각해 보자.
내가 불안감, 증오감, 의심, 불쾌감 같은 감정들을 느끼게 되면, 그 즉시 나는 우주에 불안하고 증오스럽고 의심스럽고 불쾌한 감정을 창조해서 제공하게 된다. 그러면 그에 따라서 아무리 노력하고 애를 써도, 불안하고 증오스럽고 의심스럽고 불쾌한 감정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을 받게 되는 것이다. 받을 수밖에 없게 된다.
그래서 수많은 끌어당김 저서에서 이렇게들 말하는 것이다. 한치의 의심도 없이 믿어야 한다. 왜냐하면 한치의 의심이라도 생겨 버리면, 그 즉시 의심스러운 상황을 마주하게 되기 때문이다.
선과 악의 원리로 돌아가지는 않는다. 우주는 감정과 느낌의 작용 반작용이 무한하게 오고 가는 철저한 중립지대일뿐이다.
감정과 느낌의 작용 반작용이라는 이 원리를 냉철하게 이해하고 영리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감정과 느낌만 철저하게 다스리도록 하자. 감정과 느낌이 곧 인생 그 자체이다.
왜냐하면 우주의 예외 없이 정확한 메커니즘에 따라서 그렇게 될 수밖에 없다.
본 글은 유튜브 진쏠미님의 영상 내용을 소개, 요약, 정리한 것임을 밝힙니다.
끌어당김과 양자역학
끌어당김과 양자역학 내가 어떤 느낌을 느끼는 그 순간, 즉시 그 느낌은 우주 전체에 곧바로 존재하게 되고, 우주는 우리가 느낀 느낌과 꼭 같은 현실을 던져준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 연결
2.healthyhappy-2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