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

까르마 - 우주의 작동 방식 까르마 - 우주의 작동방식 감정과 느낌만 철저하게 다스리도록 하자. 감정과 느낌이 곧 인생 그 자체이다. 당신이 길을 걷다가 우연히 누군가와 살짝 부딪히게 되었다. 그런데 두 사람 모두 너무 바쁘고 정신이 없어서, 서로 부딪혔다는 사실을 인식도 못하고 그냥 지나쳐 가버렸다. 이러한 경우에는 까르마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날 당신은 같은 길을 걷다가 또 다른 사람과 부딪혀 버렸다. 그때 여러분은 어제와는 다르게 순간적으로 불쾌한 감정을 확 느껴 버렸다. 그래서 인상을 잔뜩 찌푸리면서 상대를 보았더니 상대도 짜증나는 티를 팍팍 내고 있다. 까르마는 바로 이때 발생한다. 첫 번째 경우처럼 아무런 감정도 느낌도 생겨나지 않으면 까르마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감정이 발생하는 순간 까르마가 생겨 버린다. 감정이.. 2024. 3. 25.
다 가졌다는 느낌과 끌어당김 다 가졌다는 느낌. 이미 다 가졌을 때에는, 내가 그것을 이미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초연하고 무욕한 느낌을 느끼게 된다. 끌어당김의 법칙은 느낌의 법칙이다 ◇ 캔자스 대학의 행복 호르몬 실험 전혀 웃기지 않은 상태에서, 억지로 웃기만 해도 행복 호르몬이 나온다. 미국의 캔자스 대학교에서 흥미로운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에게,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억지로라도 미소를 유지해 달라고 부탁했다. 그리고 억지로 웃고 있는 참가자들에게, 스트레스받는 상황을 겪게 했다. 참가자들은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 속에서도, 계속 억지 미소를 유지해야만 했다. 실험 결과는 놀라웠다. 똑같이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 무표정으로 있던 집단보다 억지로라도 웃은 집단에, 행복 호르몬 지수가 훨씬 높게 나왔다. 실제.. 2024. 3. 25.
끌어당김과 양자역학 끌어당김과 양자역학 내가 어떤 느낌을 느끼는 그 순간, 즉시 그 느낌은 우주 전체에 곧바로 존재하게 되고, 우주는 우리가 느낀 느낌과 꼭 같은 현실을 던져준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우리는 모두 하나다. "모든 것이 결국에는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라고 주장한 선각자들이 많았는데, 이 말이 과학적으로도 사실이라는 것이 현대의 물리학, 즉 양자역학에 의해서 증명이 되었다. ◇ 과학계의 판도를 뒤집어 버린 연구결과. 우리 눈에 보이는 세상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광양자이다. 쉽게 말하면 광양자는 빛 알갱이다. 과학자들은 우리 눈에 보이는 이 물리적인 세상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빛 알갱이, 광양자 한 개를 똑같은 성질을 가진 두 개.. 2024. 3. 25.
생각과 감정, 2가지만 바꾸면 운명이 바뀐다 생각과 감정, 2가지만 바꾸면 운명이 바뀐다 우리 자신과 우리의 현실을 바꾸려면, 우리 신체의 파동을 바꾸기만 하면 된다. 파동을 바꾸면 새로운 것이 끌어당겨지며 이것은 과학이다. 인간의 의식이 모든 것을 창조해 낸다 . 최신 과학의 양자역학에서, 매우 신중하게 내려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인간의 의식'이, 실제로,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해 내는 힘인 것이다. '인간의 의식'이 진짜로 모든 것을 만들어낸다." 수십 수백 번의 엄밀한 과학적 실험을 거쳐서 검증된 이상한 결론 앞에서, 양자역학자들 스스로도 굉장히 혼란스러워했다. . 이것이 도대체 과학일까? 아니면 종교일까? 자, 양자물리학자들에게 "우주를 구성하는 근원적인 존재가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그들은 이렇게 대답할 것이다. "에너지! 에너.. 2024. 3. 24.
끌어당김의 원리 끌어당김의 원리 성공하는 사람이 될지 안 될지, 미래의 가능성들 중에서, 성공자가 될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게 되면, 결국에 성공자가 될 [수밖에] 없다. 끌어당김은 과학이다. 양자역학의 이중 슬릿 실험 어떤 물질을 어떻게 관측하느냐에 따라 그 물질의 존재 상태가 달라진다. 관찰자가 어떤 물질을 파동으로 봐야겠다고 마음먹고, 파동을 포착하는 스크린 장치를 갖다 놓으니까, 그 물질은 파동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똑같은 물질을 입자로 봐야겠다고 마음먹고, 입자를 포착하는 렌즈 장치를 갖다 놓으니까, 그 물질은 입자 상태로 존재하고 있었다. 파동으로 보려고 하니까 파동으로 존재하고 있었고, 입자로 보려고 하니까 입자로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 실험의 결과를 한 문장으로 .. 2024. 3. 24.